본문 바로가기

서양철학사19

세네카의 사상 이번엔 고대 로마 철학자 사상을 알아보던 중 빼먹었던 세네카의 사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세네카(기원전 4년 ~ 기원후 65년)는 고대 로마의 철학자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로마시대 철학자들과 같이 스토아 철학을 중요한 삶의 지침으로 삼고,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세네카의 사상은 개인의 감정과 욕망을 이성적으로 다스리고, 도덕적 삶을 살아가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감정 조절과 자아 수양을 통해 고통과 어려움 속에서도 평온함을 유지하는 법을 터득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세네카의 철학은 당대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네카는 오늘날 스페인인 히스파니아 지방의 카디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세네카 노르비누스는 로마의 고위 관료였기에, 철저한 통제와 규율을 .. 2025. 2. 3.
흄의 사상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역사학자, 경제학자로, 근대 경험론을 정점으로 끌어올렸다고 평가받는다.(성에 비해서 이름은 평범해서 놀랐다..)그는 기존 철학이 당연하게 여겼던 인과성, 자아, 종교적 신념 등을 철저히 분석하고 비판함으로써, 회의적인 태도를 근대 철학의 중심 기조로 삼았다. 흄의 사상은 이후 칸트의 철학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인식론과 과학철학의 발전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흄은 1711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궁금한게 많았던 그는 12세에 에든버러 대학교에 서 철학, 수학, 논리학 등 다방면으로 탐구했다. 하지만 여러 학문의 탐구도 그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줄 순 없었고, 보다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 2025. 2. 3.
존 로크의 사상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는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 사상가로, 근대 경험론을 체계화했다. 그는 인식론에서 "백지설(tabula rasa)"을 주장하며, 우리의 뇌는 백지와 같은 상태이므로 모든 지식은 경험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아마 자연권과 사회계약론을 바탕으로 근대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사실일 것이다. 그의 사상은 이후 계몽주의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독립 선언과 프랑스 혁명에까지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다.  존 로크는 1632년 영국 서머싯(Somerset)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의회파를 지지했던 변호사로, 청교도 혁명 당시 의회군에서 활동하였다. 진보적인 가정 환경 속에서 성장한 로크는 자연스럽게 정치적.. 2025. 2. 3.
스피노자의 사상 바뤼흐 스피노자(Baruch Spinoza, 1632~1677)는 17세기 네덜란드 철학자로, 근대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다.(나는 스피노자의 first name을 이번 포스팅 작성하면서 처음 알았다)그는 르네 데카르트의 영향을 받긴 했지만 그의 이원론을 거부하고 신과 자연을 동일시하는 범신론적 철학을 전개하였다. 그의 주요 저서인 《에티카(Ethica)》에서는 기하학적 방법으로 철학이 전개되는데, 존재의 본질, 인간의 감정, 자유와 필연성의 관계 등이 탐구되어있다. 스피노자의 사상은 당시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 도전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유대인 공동체에서 추방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사상은 이후 계몽주의와 현대 철학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실존주의, 스토아 .. 2025. 2. 3.
르네 데카르트의 사상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 라는 말을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사람이 있을까? 이 명언을 남긴 사람은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다. 그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합리주의 철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그는 중세의 전통적 철학의 한계를 벗어나 확실한 지식을 추구하며, 철학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수학적 방법을 철학에 적용하여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유를 강조하였다.(수학 공부에 빼놓을 수 없는 좌표평면이 바로 르네 데카르트의 발명품이다)르네 데카르트의 사상은 이후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등의 합리론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경험론과의 대립 속에서 근대 철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데카르트는 1596년 프랑스 투렌 지방의.. 2025. 2. 3.
프랜시스 베이컨의 사상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근대 경험주의 철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위인이다. 그는 철학과 과학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인간이 자연을 탐구하는 방식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다. 특히, 귀납적 방법론을 강조하며 중세의 연역적 사고방식을 비판하였으며,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대표 저서 《새로운 아틀란티스》와 《노붐 오르가눔》은 과학적 탐구와 지식의 축적 방법에 대한 그의 철학을 단적으로 드러내며 이후 데카르트, 로크, 흄 등의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사상은 단순한 지적 사유를 넘어 실용적인 지식을 확보하여 인간의 삶을 보다 나아지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현대 과학의 근본 정신과도 .. 2025.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