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 프랜시스 베이컨의 사상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은 근대 경험주의 철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위인이다. 그는 철학과 과학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인간이 자연을 탐구하는 방식에 대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었다. 특히, 귀납적 방법론을 강조하며 중세의 연역적 사고방식을 비판하였으며,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대표 저서 《새로운 아틀란티스》와 《노붐 오르가눔》은 과학적 탐구와 지식의 축적 방법에 대한 그의 철학을 단적으로 드러내며 이후 데카르트, 로크, 흄 등의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사상은 단순한 지적 사유를 넘어 실용적인 지식을 확보하여 인간의 삶을 보다 나아지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현대 과학의 근본 정신과도 .. 2025. 2. 3. 토마스 홉스의 사상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는 근대 정치철학의 기초를 다진 철학자로서, 인간 본성에 대한 냉철한 시각과 절대적 군주의 필요성을 강조한 사람으로 알려져있다. 그는 유럽이 격동의 시기를 겪던 17세기에 활동하며, 사회적 혼란과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질서를 탐구했다. 홉스는 인간이 본래 이기적이고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존재이며, 자연 상태에서는 끊임없는 갈등이 벌어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 그는 강력한 주권자(리바이어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 이 사상은 그의 대표 저서인 《리바이어던(Leviathan)》에서 인간의 자연 상태, 사회계약, 절대군주의 필요성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리바이어던은 대학생 추천 도서로도 자주 언급된다. ) 토마스 홉스의 .. 2025. 2. 3. 안셀무스의 사상 안셀무스(Anselm of Canterbury)는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로, 신앙과 이성을 조화시키려 한 철학자이자 신학자였다. 그는 특히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으로 유명하며, 신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려 한 최초의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또한, 기독교 신앙을 합리적으로 정당화하려는 시도를 통해 스콜라 철학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의 사상은 토마스 아퀴나스와 데카르트 등 후대 철학자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안셀무스의 성장 과정과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의 철학적 사상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안셀무스는 1033년 또는 1034년, 이탈리아 북부 피에몽트 지방의 아오스타(Aosta)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정은 귀족 출신이었으며, 특히 어머니는 독실한 기독교 신.. 2025. 2. 2.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서양 기독교 철학의 가장 중요한 사상 중 하나다. 아우구스티누스(또는 어거스틴,Augustinus, 354~430)의 철학은 중세 스콜라 철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신앙과 이성을 결합하여 신학적 문제를 철학적으로 탐구했으며, "고백록"과 "신국론"과 같은 저서를 통해 인간의 본성과 신의 역할에 대한 깊은 통찰을 남겼다. ① 유년기와 교육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누미디아(현재의 알제리) 지방의 타가스테(Tagaste)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파트리키우스(Patricius)는 이교도였지만, 어머니 모니카(Monica)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다. 그의 어머니는 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개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어린 시절부터 그.. 2025. 2. 2. 에픽테토스의 사상 에픽테토스의 사상은 고대 스토아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 중 하나다. 그는 내면의 자유와 자기 통제를 강조하며, 현대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철학적 사상을 남겼다. 그는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처럼 권력층이나 귀족 출신이 아니라, 노예 신분에서 철학자가 된 독특한 이력 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체적 자유를 누리지 못한 그가 오히려 진정한 자유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천착하며 스토아 철학의 핵심 개념을 발전시켰다. 에픽테토스의 사상이 발전하게 된 그의 배경을 알아보자. 에픽테토스는 기원후 55년 , 로마 제국의 소아시아 지방인 히에라폴리스(현재 터키 파묵칼레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그는 태어나자마자 노예 신분이었으며, 로마의 권력자 에파프로디토스(Epaphroditu.. 2025. 2. 2.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사상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스토아 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철학적 통찰과 실천적인 삶을 결합한 인물이다. 그의 철학은 개인의 도덕적 완성과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며, 특히 《명상록(Meditations)》을 통해 스토아주의의 핵심 개념을 후대에 전달했다. 그는 통치자로서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지만, 스토아적 태도로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으며, 그의 철학적 사유는 현대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121년 로마에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본래 이름은 마르쿠스 안니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Marcus Annius Catilius Severus)였으나, 후에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에 의해 양자로 입양되면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Marcus .. 2025. 2. 2. 이전 1 2 3 4 다음